환경오염

탄소배출량 46%를 줄일 수 있는 방법

뽐뽐이 2022. 7. 13.
728x90

탄소 배출량 줄이기 

 

세계 각국에서 탄소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가운데 세계 60여 개국이 이 연료를 사용하여 휘발유 차의 탄소 배출량을 46%까지 줄이고 있습니다. 미국 에너지부 산하 아르곤 국립 연구소 박사는 '기후 위기 ·탄소 중립 시대 바이오 연료의 역할' 국제 심포지엄에서 "바이오에탄올 원료의 생산부터 최종 자동차의 연소에 이르는 전주기 분석 결과 바이오에탄올이 휘발유보다 약 44~46%의 탄소를 배출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라고 주장했습니다.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2050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서 수송 부분에서 신재생에너지인 바이오연료를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는데요 이를 위해서 현재 정부가 바이오디젤에만 적용하고 있는 신재생에너지 연료 의무혼합제도(RFS)에 바이오에탄올도 포함시켜야 한다는 발언이 나왔다고 합니다. 특히 전기차와 수소차 등 그린 모빌리티 전환 과도기에 있는 지금 바이오연료가 탄소중립을 실현하는 가장 현실적인 대안이라는 주장입니다.

이미 세계 60개국에서 대기환경을 개선하고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하고자 화석연료를 대체하기 위한 바이오에탄올을 도입하고 있습니다. 그중 47개국이 바이오디젤과 바이오에탄올을 같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한국에서도 바이오디젤 혼합 정책은 도입하였지만 바이오에탄올 정책 도입은 미뤄지고 있는데요 이는 바이오에탄올의 원료가 되는 옥수수 생산량은 꾸준히 늘고 있는 반면에 비료나 에너지 사용은 줄고 있기 때문에 바이오 에탄올 생산 과정에서 탄소배출량을 줄고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습니다.

AUTOHERALD 참조

미국을 비롯한 많은 나라들이 고유가와 탄소배출량을 저감 하기 위해서 바이오 연료를 적극적으로 사용하고 있는데요 반면에 우리나라는 소극적인 반응이라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지난해 6월  신·재생에너지 연료(식물성 기름, 동물성 지방 등 바이오디젤) 혼합 비율을 3%에서 3.5%로 높이고 3년 단위로 0.5% 포인트를 단계적으로 올려서 2030년에는 5.0%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합니다.

 

선진국에 비해서는 적은 양이지만 2020년 기준으로 볼 때 바이오디젤 사용량은 76만 9천 kℓ로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198만 톤가량 줄이는 효과를 거뒀습니다. 미국 같은 경우 올해 360억 갤런의 신재생연료 사용을 의무화하면서 136억 갤런의 휘발유 및 경유를 대체할 예정이라고 하는데요 이는 미국 연간 수송용 연료 소비량의 7%에 해당하기 때문에 곡물뿐만 아니라 목재와 바이오매스, 폐기물 에너지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바이오 연료를 생산하고 사용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the joongang 참고

바이오에탄올을 만들면 정말 우리나라는 식량난이 올까?

위에 이야기를 했듯이 바이오 에탄올 사용에 관해서 우리나라는 소극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고 하는데 이유가 무엇일까요? 우리나라는 전 세계에서 온실가스를 11번째로 많이 배출하는 나라라고 합니다.  작년 8월에 발표한 지구 평균 기온이 산업화 이전 대비 1.5도 상승하는 시점을 기존 2030~2052년에서 2021~2040년으로 크게 앞당겼다는 발표가 있었는데요 이는 매우 심각한 문제이기도 합니다.

 

이로 인해 탄소중립을 위한 방법으로 주목받는 방법 중에 하나로 바이오에탄올이 거론되었습니다. 바이오 에탄올은 옥수수나 밀, 사탕수수, 감자 같은 녹말이 있는 작물을 발효시켜 차량의 연료 첨가제로 사용하는 연료로 만드는 것입니다. 바이오에탄올 연료는 휘발유와 비교했을 때 온실가스를 45% 감축할 수 있다고 하니 대단한 효과가 아닐 수 없습니다.

하지만, 이를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시각에서는 한국은 미국이나 우크라이나처럼 곡물 생산하는 나라가 아니기 때문에 바이오에탄올 연료를 쓰려면 원료 대부분을 수입하고 의존하기 때문에 바이오 에탄올 사용은 좋지 않다는 반응입니다. 왜냐하면 세계 최대 옥수수와 대두 생산지 중 한 곳인 남미 지역은 2년 연속 가뭄이 들었고, 올해 초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면서 밀 시장의 공급도 제한을 받았기 때문입니다. 결국 바이오에탄올을 도입하기 위해선 식량 안보와 에너지 사용의 지속가능성 사이 균형을 맞춰나가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728x90

댓글

💲 추천 글